728x90
반응형

Ⅲ.결론

 

본 글에서는 농사개량의 추진 주체와 추진 대상의 비동일성, 소위 ‘식민성’이 어떤 영향을 가져왔는지를, 권업모범장의 성격과 이후 전개된 수도우량품종 도입을 통해 살펴보았다.

 

우선 권업모범장의 설립과 그 활동에서의 일본 중심적인 특성을 알 수 있었다. 권업모범장은 한말에 한국 정부의 농사시험장 설립을 통한 농업지배를 막으면서 설립되었 고, 이후 식민지기에 조선 총독부 산하로 편입되어 일본 농업 기술을 한국에 강제적 으로 도입하는 방식의 농사개량을 진행하였다. 권업모범장에서의 연구는 조선 전통 농업 기술과 재래품종을 기반으로 한 것이 아닌, 일본의 것을 가져와 그 중 적합한 것을 그대로 이식하는 방식이었다고 평가받는다. 이러한 권업모범장에게 가장 중요한 목적은 식민지 본국의 필요 충족이었다. 이어서 구체적인 사업으로서 우량품종 도입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체로 우량품종도 입은 생산성 증대를 가져왔지만, 그럼에도 재래품종은 驅逐되고 소수의 우량품종으로 통일되는 등, 전반적인 농사개량 사업의 식민지적인 틀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또한, 일본의 기술을 그대로 이식해 오는 과정에서 조선의 농업 상황에 적합하지 않은 품종이 장려되어 생산성이 정체되거나, 일본 기술자들의 기술 부진으로 미단작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 역시 우량품종 도입에 있어서 그 ‘추진 주체’와 ‘추진 대상’ 이 ‘일본’과 ‘조선’으로 달랐기 때문에, 농업기술 이식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다고 파 악할 수 있다.

 

또, 우량품종의 도입 역시 농사개량 사업의 일부였기에, 전반적인 농사개량이 이러한 ‘식민성’의 영향을 받았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었다. 농사개량 사업은 우선 그 목표 측면에서도 식민지 본국의 사회적 요구가 짙게 반영되었다. 또, 조선의 재래 농업을 경시하며 일본의 기존 연구의 방향성과 기술이 도입되었다. 조선의 미단작화가 그러한 두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본 글은 일제 식민 지배가 조선의 농업 상황에 끼친 영향을 다루되, ‘식민지 억압’의 차원보다는 식민 지배가 가져온 사업 주체-대상 간 비동일성이라는 특수한 상황의 측면에서 파악하고자 했다. 그러한 비동일성이 사업 과정에 깊이 반영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고, 추진 주체의 의도를 추진 대상에 적용하려 하며 여러 부정적 영향이 야기되기도 했음을 알 수 있었다.


참고문헌

김도형, 「勸業模範場의 식민지 농업지배」, 한국근현대사연구3, 한국근현대사학회, 1995

김도형, 「일제강점 하 농업기술기구의 식민지 농업지배적 성격」, 농업사연구4-1, 한국농업 사학회, 2005

김영진‧김상겸, 「한국 농사시험연구의 역사적 고찰 -권업모범장을 중심으로-」, 농업사연구 9-1, 한국농업사학회, 2010

류기덕, 「日帝下 朝鮮農業政策의 展開와 農家經濟樣相」, 社會科學論叢18-1, 계명대학교사 회과학연구소, 1999

류정선, 「조선총독부의 밭작물 개량증식 정책」,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소순열, 「식민지기 전북에서의 수도품종의 변천」, 농업생명과학연구23, 전북대학교 농업과학 기술연구소, 1992

소순열, 「식민지기 전북에서의 수도품종 (水稻品種)의 시험연구와 그 보급 -식민지농업기술의 주체성해명을 위하여-」, 全羅文化論叢5, 전북대학교 전라문화연구소, 1992

우대형, 「일제하 미곡생산성의 추이에 관한 재검토」, 經濟史學58, 경제사학회, 2015

홍금수, 「일제시대 신품종 벼의 도입과 보급」, 대한지리학회지 38-1, 대한지리학회, 2003


써보았던 과제글 중 가장 재미있게 쓴 글이자 교수님께 '주제의식이 뚜렷하다'라는 칭찬을 거의 처음으로 들은 글. 하지만 동시에,, 나만의 생각과 해석은 없고 이미 진행된 연구의 짜집기에 불과해서 현타도 왔던 글. 학부생 수준에선 어쩔 수 없...다고 위안하려 해도 주변 사람들은 나름 본인만의 문제의식과 참신한 생각을 가지고 글을 쓰는 것 같아서 우울했었던 기억이,,,

그래서 전과를 해버렸다!(극단적)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